-
간암진단 이루어지는 방법은카테고리 없음 2024. 10. 24. 15:48
초기에 어떠한 증상도 나타나지 않는 간암의 특성으로 인해 조기 발견이 까다롭게 여겨졌어요.
간암은 발견되었을 때 이미 질병이 진행된 단계로 치료가 어려운 상황에 이르렀기 때문에, 예후가 좋지 않다고 평가받았어요 간암의 조기 발견을 위해 고위험군은 정기적인 검진을 실시해야 했어요.
간암을 발병시킬 수 있는 위험요소 중 하나로, 만성 B형(慢性 B型)간염과 C형간염이 주목받았어요. 한국에서는 간암 환자의 대다수가 만성간염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형 간염 환자가 전체의 75%, C형 간염 환자가 10%를 차지했어요 특히, 간경변증이나 고령의 간염 환자에서 간암의 발생률이 더 높았어요.
간암과 깊은 연관성을 지닌 알코올성 간염은 음주와 흡연이 병행될 경우 더 큰 위험성을 가지고 있었어요
특히, 간염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지 않은 간경변증 환자 역시 일반인보다 간암이 발생할 가능성이 훨씬 높았어요.
만성 B형간염에서 간암으로의 전환은 주로 50대 초반에 시작되었고, C형에서는 60대 초반으로 보고되었어요 이러한 위험군 환자들은 종양표지자로 알려진 알파태아단백(α-fetoprotein, AFP) 검사와 간초음파를 주기적으로 받아야 했어요.
간암과 관련된 종양표지자로는 알파태아단백(α-fetoprotein, AFP), 감마글루타밀 전이효소, 데스-감마-카르복시 프로트롬빈, 조직 폴리펩티드 항원 등이 알려졌어요
이들 중 알파태아단백은 흔하게 사용되었어요.
성인에서 알파태아단백은 10mg/L 이하로 측정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간암을 포함한 일부 암종에서는 이 수치가 상승했어요 양성 간 질환에서도 알파태아단백 수치가 200mg/L까지 증가할 수 있었지만, 간암 환자에서는 그보다 훨씬 높은 수치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어요.
이처럼 간암의 위험성과 조기진단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특히 고위험군 환자들에게는 정기적인 검사와 관리가 필수적이었어요
이러한 노력을 통해 간암의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했어요.
간암 환자의 대다수가 만성 간 질환을 가지고 있어, 혈청 AFP 측정만으로는 간암을 확정하기 어려웠어요
특히 간세포암(肝細胞癌) 환자 중 반 정도에서만 AFP 수치가 뚜렷하게 증가했기 때문에, 복부 초음파와 같은 추가 검사가 필수적이었어요.
AFP의 점진적 상승은 간암의 가능성을 의심케 했어요.
그러나 이 수치가 갑자기 하락한다 해도, 간암이 아니라고 단정 지을 수 없었어요. 간 종양이 괴사하여 간암세포가 감소하면 AFP 또한 일시적으로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었어요 특히, 양성 간 질환에서는 AFP 감소가 급격했고, 간암 환자에서는 이전 수치의 50% 이상으로 여전히 높게 유지되는 경향이 있었어요.
혈청 ALT 수치가 동시에 상승하는 경우도 관찰됐어요. 만성간염 환자에서 질병이 재발하면, AFP와 ALT 모두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났어요 간암 환자에서는 AFP가 천천히 계속해서 상승하는 양상을 보여, 이 두 지표의 상승 패턴을 비교함으로써 양성 질환과 간암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되었어요.
때로는 AFP 수치가 200mg/L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초음파에서 종괴가 발견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어요. 이럴 때는 환자가 만성간염을 앓고 있는지, ALT 수치가 높은지 확인해야 했어요 만성간염 환자가 아니고 ALT 수치도 정상이면, 간암의 위험이 매우 높아 추가적인 검사가 요구됐어요.
DCP(Des-γ-carboxy prothrombin) 검사도 중요한 진단 도구였어요. 이것은 비타민 K 부족 시 생성되는 혈액 응고 능력이 없는 항원성 프로트롬빈 전구 단백질로서, 간세포암 환자의 약 80%에서 혈중 농도가 증가했어요 그렇지마는 와파린 사용자나 비타민 K 결핍 상태에서도 수치가 증가할 수 있어, 감별이 필요했어요.
복부 초음파검사는 간단하고 저렴하며, 방사선 노출 없이 진행되는 높은 정확도의 검사였어요 그러나 검사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과에 차이가 생길 수 있었고, 횡경막 아래에 위치한 간 종양의 진단은 어려울 수 있었어요.
CT와 MRI는 종양의 크기와 침범 범위, 종양이 혈관을 침범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유용한 영상 진단법이었어요. 종양 주변의 비정상적인 신생 혈관의 존재 유무와 간문맥의 혈전 생성 여부도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어요 때로는 폐 전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흉부 CT도 함께 실시됐어요.